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쩍 벌어진 옹기그릇이다. 독 뚜껑으로 쓰는 소래기보다 운두가 약간 높으며 바닥이 넓다. 부피는 동이만 하고 높이가 낮고 넓적하게 만든 오지그릇이며 바깥 면에 손잡이가 달려있던 흔적이 보인다.
(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관)
| 유물번호 | 1227 |
|---|---|
| 물질 | 토도류 |
| 소장경위 | 기타 |
| 수량 | 1 |
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쩍 벌어진 옹기그릇이다. 독 뚜껑으로 쓰는 소래기보다 운두가 약간 높으며 바닥이 넓다. 부피는 동이만 하고 높이가 낮고 넓적하게 만든 오지그릇이며 바깥 면에 손잡이가 달려있던 흔적이 보인다.
(충남대학교박물관에서 이관)
| 번호 | 분류 | 제목 | 유물번호 | 물질 | 소장년월일 | 소장경위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418 | 백제 |
연가
|
1233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7 | 백제 |
등잔
|
1232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6 | 백제 |
등잔
|
1231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5 | 백제 |
세발토기
|
1230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4 | 백제 |
뚜껑
|
1229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3 | 백제 |
뚜껑
|
1228 | 토도류 | 기타 | |
| » | 백제 |
자배기
|
1227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1 | 백제 |
항아리
|
1226 | 토도류 | 기타 | |
| 410 | 백제 |
뚜껑
|
1225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9 | 백제 |
전 편
|
1224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8 | 백제 |
전 편
|
1223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7 | 백제 |
전 편
|
1222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6 | 백제 |
전 편
|
1221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5 | 백제 |
전 편
|
1220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4 | 백제 |
전 편
|
1219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3 | 백제 |
치미편
|
1218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2 | 백제 |
치미편
|
1217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1 | 백제 |
치미편
|
1216 | 토도류 | 기타 | |
| 400 | 백제 |
치미편
|
1215 | 토도류 | 기타 | |
| 399 | 백제 |
전 편
|
1214 | 토도류 | 기타 |